I love we love we love I as a part of No Space Just a Place, art project by GUCCI at Daelim Museum Seoul Korea
2020. 4.17 - 7.12
‘I love we love we love I’는 ‘공동체’의 완벽한 개념을 구성하는 데 있어 시뮬라크라가 실재(real)보다 더 실재성을 가지는, 즉, 하이퍼리얼로서, 감정의 환영을 불러 일으킨다. 그것은 동시대 사회, 즉 단일 목표를 가진 무한한 정보의 흐름을 성찰하는 데 있어, 유한한 나선형의 순환적 개별화를 떠올린다. 스페이스 원의 전시, 퍼포먼스, 토크 아카이브를 보여주면서, 본 마이크로-전시는 모호성들 중 낭만주의와 비평, 나와 타인, 애정과 혐오의 경계에 위치하고 또한 계속하여 그 주위를 움직인다.
“…양안의 망막 이미지는 동일하지 않다. 그것이 이미지의 개별화를 일으키는 정보로서의 이질성이며, 즉, 그것이 통일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허욱, Recursivity and Contingency)
‘통일되기 위해 다른’ ‘공동체’의 의미를 낭만화할 때, 서로의 작용을 가능케 하는 수행적, 상호의존적, 순환적 관계의 구조의 미학적 경험을 함께 불러온다. 바로 이 환상적인 ‘존재’는 내면을 밖으로, 외면을 안으로 뒤집는 초현실적인 드라마와 공명하며 ‘I’, ‘we’ 및 실재에서 서로를 지탱하는 관계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부재’함을 인식한다.
더 나아가 그것은 ‘I’와 ‘we’의 실재, 기술적 리얼리티를 질문한다. 우리가 의사소통을 위해 기술을 사용한 물건과 상호작용하면서, 우리의 신체적 제스처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이 변화는 신체의 정치학을 바꾸었는가? 이 새롭고 중심적인, ‘정보’와 그 편재함은 무엇인가? 인간, 자연, 기계 사이의 이 새로운 관계는 어떻게 공동체의 의미와 우리의 사고 방식을 변화시켰는가? TV드라마, 미니시리즈, 유튜버와 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 것들로 이루어진 우리의 세계의 다양한 구조와 내러티브에서 끌어내어, ‘I love we love we love I’는 관계 및 I, we의 증식의 초점을 멀티-자연주의의 수행적이고 신체적인 과정에서 이동시키며 ‘인간의 제3의 본능으로서의 기술’(허욱)을 재구성한다.
“…나-우리는 보편적이고 특정한 것이 아닌 부분적 연결로 세계를 활용하는 방법을 다시 배워야 한다.” (도나 J. 해러웨이 Staying with the Trouble
- 여인영
I love we love we love I stirs up the illusion of emotion as simulacra becomes more real than the real, that is hyperreal, in constructing the perfect idea of ‘community’. It recollects a finite spiraling loop of individuations in reflecting on its contemporaneous society, that is an infinite flow of information with a singular goal. Presenting an archive of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talks from Space One, this micro-exhibition stands and continues to move around the boundaries of romanticism and criticism, I and others, love and hate among other ambiguities.
...retinal images in both eyes are not identical. it is this disparation as information that allows an individuation of the image to take place, that is, forming a unified image. Yuk Hui, Recursivity and Contingency
In romanticizing a sense of ‘community’ that differs to unify, it brings together an aesthetic experience of the performative, interdependent, and cyclical relational structure that enables each other’s agency. This very fantastical presence resonates a hyperreal drama that flips the inside out and outside in, recognizing the very absence of autonomy and diversity in I’s, we’s, and the supporting relationships in reality.
It further questions this reality of I’s and we’s, that is the technical reality. As we interact with technical objects to communicate, how have our bodily gestures shifted? Does this shift alter body politics? What is this new and central figure, ‘information’ and its omnipresence? How has this new relationship among human, nature, and machine transformed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way we think? Drawing from multiple structures and narratives in our world of TV dramas, mini-series, youtubers and instagrammables, I love we love we love I reframes technology as human’s third nature (Hui), shifting the focus on relations and multiplication of I’s and we’s in its performative and bodily process of multi-naturalism.
...I-we-have to relearn how to conjugate worlds with partial connections and not universals and particulars.” Donna J. Haraway, Staying with the Trouble
-InYoung Yeo
For more info:
https://nospacejustaplace.gucci.com/en.html
참여 작가 그레타 그란데라트, 김예영(스튜디오 요그), 라울 월시, 로사나 그라프, 리자 딕비쉬+율리아 그루너, 방은겸, 수짓 쿠마르 말릭, 에이미 아일랜드, 여인영, 유재인, 윤심+레이첼 최, 틸 월퍼 N55, 황유미
참여 공동체 바이크 파티 서울, 부바네스와르 시장상인, 신흥시장 주민 및 상인, 함부르크 Gängeviertel, 해방촌 문화 비빔밥
촬영 37 프로덕션, 로렌스 바우어, 성의석, 심승희, 정찬민, 펠릭스 나이베그, 스테이크 필름
편집 스테이크 필름/ 여인영
Artists Amy Ireland, Eunkyum Bang, Greta Granderath, Inyoung Yeo, Jane Yoo, Liza Dieckwisch+Julia Gruner, Raul Walch, Rosanna Graf, Sujit Kumar Mallik, Till Wolfer N55, Yeyoung Kim(studio yog), Youmee Hwang, Yun Shim+Rachel Choi
Communities Bhubaneswar Market Unit 1, Bike Party Seoul, Hamburg Gängeviertel, HBC Bibimbap, Sinheung Market
Video documentation 37 Production, Chanmin Jeong, Eui Seok Seong, Felix Nybergh, Laurens Bauer, Seunghui Sim, STEAK FILM
Video edit STEAK FILM (wook)/ InYoung Y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