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끄덩, 가장자리를 나선형으로 돈다 / Spiraling into the slippery edges of a hole
2021.11.20 - 11.28
‘미끄덩, 가장자리를 나선형으로 돈다’는 2020년 ‘반반한방'에 이어 사람의 표피를 자연과 기술의 표면으로 확장시켜 욕망, 자본 그리고 소비의 순환에서 왜곡되고 신비화되는 알고리즘 논리와 감정 노동의 반복적 소비에 대한 사유로 그 순환과 왜곡을 반반하게 펴고 다시 동그랗게 말아, 그 가장자리를 나선형으로 돌고 도는 시뮬레이션 프로젝트이다. 글, 애니메이션, 설치를 혼합현실 MR (AR, VR)로 풀어내는 2회의 온라인 퍼포먼스와 관객 참여형 전시로 선보인다.
사람, 자연 그리고 기술의 관계 그 중심 안에서 우리가 하루에 세번 소비하는 음식은 그 씨앗부터, 재료, 가공, 배송등 산업화로 인해 자연 그리고 도시의 생태계, 사람의 욕망 그리고 기술의 개입까지 거미줄처럼 복합적인 관계로 얽히고 설킨다. 특히 식민화, 문명화, 산업화 라는 정의 아래에 획일화되어 가공되고 있는 음식과 음식의 온/오프라인 소비문화를 비평적으로 반영하는 동시에 미래의 순환적, 우주론적 접근의 식문화를 예측해본다. 나아가 한국의 발효 장문화에서 고집해온 ‘복합균‘을 비유로 하나의 우월한 균이 아닌 다양한 균으로 만들어지는 콩, 소금, 물이란 세가지 기본적 요소의 순환적 사고, 나아가 그안에서의 모순점을 함께 사유한다.
음식과 음식문화, 온라인 먹방 문화는 자본, 욕망과 소비의 ‘관찰자’와 ‘피관잘차'의 사이를 오가며 끝없는 ‘감정의 노동과 소비’를 요구하고 소비한다. 이 순환 안에는 주체, 매개체와 객체가 서로를 관찰하고 나 자신이 관찰과 소비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혼란 속의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음식 소비문화‘ 그리고 식당 공간에서의 ’서비스 노동‘에 대한 담론을 펼친다. 그안에 흐르는 서사로 강경애의 소설 ‘소금'에서 여성의 역할과 개인적 서사안에 이주와 감정의 관계를 문자의 소통안에서도 필히 더하지 않으면 안될것 같은 감탄사들의 개입과 융화로 노동한다.
‘Spiraling into the slippery edges of a hole.’ is a continuation of the project ‘a flat and a half’ in exploring the new sense of embodiment and emergence, that is the extended surfaces we embody and emerge from our bodily, emotive, organic to digital skins within the desire, capital to consumption cycle in the new logic of algorithm. With a focus on labor, specifically emotional labor in digital food culture, the project creates a mixed reality of video installation, AR, VR and online live performance work.
Addressing the complex relations in food politics within the new tertiary interrelations of human, nature and technology, is a critique on ‘standardization’ of food through colonization,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inquiring into ‘wild culture’ (consisting of various culture rather than one superior standardized culture) in Korean traditional ‘jang’ fermentation, made with three simple ingredients, soybean, water and salt.
Here, ‘salt’ becomes the mediator of the story based on the Korean novel ‘Salt’ by Kyungae Kang in 1934, of the female protagonist who migrates to the north to follow her husband, barely surviving in the mix of the complex political grounds of the North, South Korea and Japanese invasions. The cyclical storytelling starts with her guilt in not having enough salt to make the food on the table tasty for her husband and children, to her becoming a salt smuggler and getting caught only to have everything taken away, without a single grain of salt left, aspiring to be like the ‘salt’, the story somehow starts again.
The consumption of female labor or female bodies in this cycle comes full circle spiraling back in the digital food culture consumption today. Thus it reflects on the ambiguity and confusion of the observer and observee relationship, ‘service with a smile’ of emotional labor with an intervention and immersion of personal narratives of migration and emotion in short expressive remarks. ‘Spiraling into the slippery edges of a hole ’ organizes the ‘inorganic’, flattening the extended surfaces only to spiral back onto the slippery surfaces of the whole hole, simply in simulation.
감독, 대본, 설치, 애니메이션/ concept, direction, script, installation, animation: 여인영 InYoung Yeo
감독보조 / project manager 황수경 Sukyung Hwang
영상 촬영 및 편집/ video documentation신윤철 Ethan Sin
퍼포먼스/ Performance사라 리버 모어 , 여인영 / Sarah Reva Mohr, InYoung Yeo
사운드 / Sound 다비드 핼비히 David Helbich
그래픽 디자인 / Graphic Design신상아 Sangah Shin
360도 버추얼 촬영 / VR 이세원 Saewon Lee
AR 테크니션 염인화 Inhwa Yeom
발효음식 자문 및 개발 / Ferment food expert 최덕용 Dukyong Choi
사진 기록 / Photo documentation이정우 Jeongwoo Lee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 ‘아트 체인지업(Art Change Up)' 선정작
후원/ Supported by: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ts Counci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