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destruction “threes.pinks.holes.” 여인영, 혼합 매체 가변크기 2019, VICAS Heritage Space MAP 프로젝트 하노이 배트남
beyond destruction “threes.pinks.holes.” InYoung Yeo,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19, VICAS Heritage Space MAP Project Hanoi Vietnam
threes.pinks.holes. starts with the question of differing surfaces in the simulated, ambiguous and aesthetic realities exploring a produced dream consciousness in fascination, in the imaginary of the hyperreal. Switching around subjective pronouns from ‘I’, ‘She’, ‘He’, ‘It’ to proper nouns, dreams are reconstructed into a mini-series of stories in relation to each other. From sixty six entries of dreams recorded since 2015, the texts further play on the writer, translator and viewer back and forth and overall triangular inter-dependency. Umberto Eco writes ‘…a mirror image is an absolute proper name as it is an absolute icon. In other words, the semiotic dream of proper names being immediately linked to their referent arises from a sort of catoptric nostalgia’. Questions then extend to what dreams do we dream? Who is the ‘I’ in these stories? Does algorithm know us better than ourselves? Is our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 construct of nature and culture or is it beyond nature and culture? In threes, in pinks and in holes these questions circle in shifting loops creating multiple relations of inversion, protrusion, torsion and curvatures reversing, flipping, folding, sticking, knotting and overlapping.
The ‘I’ in relation to ‘others’
In text, I is myself, if A said ‘I’ then I is A,
In mirrored images, ‘I’ is always ‘I’right to left, left to right
In story-telling, ‘I’ is the writer, the character, protagonist, center figure of the perspective and the reader,
In social media…
In video…
In game…
In dreams…
<셋, 분홍, 구멍>는 모방되어 만들어진, 모호하고 심미적인 현실의 상이한 표면을 질문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며, 이 작업은 매혹과 초현실의 상상계에서 만들어진 꿈의 의식을 탐구한다. 주격대명사인 ‘나’, ‘그녀’, ‘그’, ‘그것’를 고유 명사로 바꾸면서, 꿈들은 다른 꿈과의 관계 속에서 미니 시리즈의 이야기로 재구성된다. 2015년부터 기록된 66개의 꿈 항목에서 시작하여, 텍스트는 더 나아가 작가와 번역가 그리고 관객이 맺는 앞뒤의, 그리고 전체적인 삼각구도의 상호-의존성을 보여준다. 움베르토 에코는 “거울 이미지가 하나의 절대적 아이콘인 것처럼 또한 완전한 고유명사이다. 다시 말해, 지시대상과 즉각적으로 연결되는 고유명사에 대한 기호학적 꿈은 광학적 노스텔지아에서 기인한다”고 밝힌다. 이제 질문은 우리가 꾸는 꿈이 어떤 꿈인지로 확장된다. 이 이야기들 속에서 ‘나’는 누구인가? 알고리즘은 우리가 스스로를 아는 것보다 더 잘 아는가?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은 자연과 문화의 구성물인가? 아니면 자연과 문화를 넘어서는 것인가? ‘세 개와 분홍과 구멍’ 안에서, 위의 질문들은 반전과 돌출, 비틀림과 곡선의 역전, 뒤집기, 접기, 들러붙기, 매듭짓기와 중첩의 다중 관계를 만들어내는 변화하는 고리들 주변을 맴돈다.
-김지은 번역
catalogue:
https://issuu.com/heritagespace/docs/hsmap_2019_catalog_layout__issue_
photo /사진제공: Heritage Space